글로벌 금리 인하 기조에 발맞춰 지난 11일 기준금리를 0.25%p 내린 한국은행, <br /> <br />경기를 부양하고 자영업자 등 서민 이자 부담을 줄이려면 추가 인하가 필요하지만 환율과 가계부채 등 걸림돌이 산적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는 그 나라의 통화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죠. <br /> <br />일반적으로 상대국과 비교해 기준금리를 올리면 통화가치가 올라가고, 기준금리를 내리면 통화가치가 내려가는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최근 미국과 우리나라의 기준금리 차가 2%p에서 1.75%p로 좁혀졌는데도 환율이 더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즉 우리 통화가치가 오히려 더 떨어진 겁니다. <br /> <br />최근 원/달러 환율은 1,400원대를 넘볼 정도로 치솟고 있는데, <br /> <br />우리가 기준금리를 내리면 환율이 더 치솟을 수 있으니 조심스러운 거죠. <br /> <br />게다가 환율이 오르면 원자재 가격도 올라서 좀 안정되어가나 싶던 물가가 다시 들썩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G20 재무장관·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참석 중인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"지난번까지는 고려 요인이 아니었던 환율이 다시 (통화 정책의) 고려 요인으로 들어왔다"고 말한 것도 이런 배경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다 집값과 가계대출이 불안한 점도 금리 인하에 반대하는 근거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대출금리가 낮아지면 시중에 풀린 돈이 부동산으로 몰려 집값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로 이어질 우려가 크기 때문이죠. <br /> <br />최근 금리 인하 전후로 금융당국이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확대한 것도 이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금리 인하를 늦추면 안 된다는 의견도 많습니다. <br /> <br />고금리 시기에 대출을 받은 서민, 특히 자영업자의 이자 부담이 더는 견디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겁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우리 경제의 성장이 멈칫했다는 점도 가벼이 볼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3분기 우리 경제 성장률은 0.1%로 예상치 0.5%를 크게 밑돌았는데요. <br /> <br />따라서 경기 부양을 위해서는 더 늦기 전에 금리를 낮춰서 투자와 소비를 촉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'경기' 부양이냐, 금융 '안정'이냐. <br /> <br />한국은행의 셈법이 더욱 복잡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조진혁 (chojh033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41028083535289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